광릉숲의 원형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국립수목원은 ‘자연 그대로’의 숲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그대로 살아내는 공간입니다.
자연 감성 여행자 기록
1) 국립수목원 & 광릉숲 개요
국립수목원은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과 남양주시 진접읍 일대에 걸쳐 있으며, 조선 시대 세조가 왕비의 능림(陵林)으로 지정한 이후 약 550여 년 동안 원형이 유지된 숲, 이른바 광릉숲 위에 세워진 수목원입니다. 1999년 5월 24일 산림청 산하 국립수목원으로 공식 출범하였고, 이전에는 광릉수목원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2010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국제적 가치를 인정받기도 했습니다.
2) 기본 정보 & 운영 안내
- 면적 및 조성: 총 102ha에 25개의 전문전시원 조성, 4,854종의 식물 수집 운영
- 전시원 구성: 수생식물원, 약용식물원, 난대온실, 어린이정원, 화목원 등
- 개방 구역: 광릉숲 전체 약 2,420ha 중 약 1,119.5ha가 일반인 관람 허가 구역
- 문의 및 안내: 031-540-2000
- 이용시간:
하절기(4~10월) 09:00~18:00 (입장마감 17:00)
동절기(11~3월) 09:00~17:00 (입장마감 16:00) - 관람 예약: 국립수목원 예약 시스템 (사전 예약제 운영)
- 주차: 무료 주차장 운영
3) 입장료 & 감면 안내
- 일반 개인 관람 요금:
- 성인(19세 이상): 1,000원
- 청소년(13~18세): 700원
- 어린이(7~12세): 500원
- 6세 이하,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무료 - 단체 요금 (30인 이상):
- 성인: 800원 / 청소년: 500원 / 어린이: 300원 - 입장료 면제 대상:
국가유공자, 장애인, 만 6세 이하 아동, 만 65세 이상, 병역명문가, 한부모가정 보호대상자, 다자녀가정(자녀 3명 이상) 등 - 결제 방식: 현장 무인 발권기 또는 온라인 예약 결제
- 입장 인원 제한: 1일 5,000명 / 시간당 700명 내외
※ 최신 요금은 국립수목원 공식 홈페이지 www.kna.go.kr에서 확인하세요.
4) 자연 그대로의 숲과 생물 다양성
국립수목원의 핵심은 “자연 그대로의 숲”입니다. 광릉숲은 인간이 손댄 정원이라기보다 온대 활엽수 극상림 상태가 잘 보전된 숲으로, 여러 세대를 거쳐 이어진 나무와 식물들이 서로 얽히고 공존하며 깊은 숲의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숲에는 약 944 분류군의 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조류, 포유류, 곤충 등 약 6,100여 분류군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특히 천연기념물인 광릉크낙새의 서식지이며, 장수하늘소 등 희귀 곤충, 다양한 조류 종도 관찰됩니다.
“숲생태관찰로” 이름 그대로, 가능하면 방해를 최소화한 덱 길과 경로를 통해 숲 내부를 관찰하며 숲의 숨소리를 듣는 산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5) 전시원 & 전문 전시 공간
국립수목원에는 자연 숲 관찰 구역 외에도 전시장 역할을 하는 전문전시원들이 있습니다. 식물의 생육 특성, 용도, 수생 및 습지 식물군 등을 기준으로 구성된 약 25개 전시 구역이 있으며, 이에 속한 전시원들은 관상수원, 수생식물원, 습지식물원, 약용식물원, 난대온실 등으로 다양합니다.
어린이정원에서는 숲속 생물과 친해지기 위한 감각체험, 키즈아카데미, 놀이정원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여름정원·겨울정원 같은 계절 전시 정원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산림박물관과 식물표본관도 중요한 전시 공간입니다. 산림박물관은 우리 산림과 임업의 역사, 숲의 역할 등에 대한 전시를 담고 있으며, 식물표본관에는 국내외 식물 표본, 곤충·동물 표본, 씨앗 등 수백만 점이 보관되어 연구 목적으로도 활용됩니다.
· 난대온실: 남해안·섬 지역 자생 식물 + 이국적 수종 전시 · 수생식물원: 연못·수변 식물 중심 구성 · 습지식물원: 습지 식물과 생태 연결 · 어린이정원: 숲놀이 + 자연 감각 교육 중심
6) 추천 탐방 코스 & 팁
· 숲 보전을 위해 일부 구역은 예약제 또는 인원 제한 운영 가능성 있음 · 숲 내부에는 상점·매점이 거의 없으므로 음료나 간단한 간식은 지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우천 시에는 온실 및 전시원 중심 동선으로 변경 권장 · 자연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정 경로 외 이탈 자제
추천 코스 (2~3시간 기준)
- 입구 → 숲생태관찰로: 덱 산책로 따라 숲의 중심부로 진입
- 난대온실 & 수생식물원: 숲 속 이후 온실/수생 전시 공간 탐방
- 습지식물원 → 어린이정원: 물가 식생과 숲놀이 교육 공간 관람
- 전문전시원 순환: 관상수원, 약용식물원 등 다양한 정원 구간
- 산림박물관 / 표본관: 숲과 식물의 이야기, 연구 자료 전시 관람
숲의 시간은 느리고 깊습니다. 속도를 낮추고, 천천히 걸으며 나뭇잎 흔들림, 새소리, 이끼와 흙냄새를 느껴 보세요. 그곳에 진짜 자연이 있습니다.
7) 교통 & 접근성
대중교통
포천 또는 남양주 방면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국립수목원 인근 정류장까지 접근한 뒤 버스 또는 택시로 연결이 필요합니다. 방문객 안내 정보에 따르면, 숲 내부에는 상업 시설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접근성과 경로 사전 확인이 중요합니다.
자가용 / 내비게이션
주소는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415” 또는 “국립수목원”으로 검색하면 됩니다. 입구 주변 무료 또는 유료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으나, 성수기에는 혼잡이 예상됩니다.
국립수목원 방문 후 포천 아트밸리, 호명산, 연천 DMZ 코스 등과 연계 여행 계획 가능
8)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꼭 예약해야 하나요?
일부 숲 내부 구역이나 프로그램은 **예약제**로 운영될 수 있으니, 방문 전 공식 사이트 또는 안내센터 확인이 필요합니다.
Q2. 입장료가 있나요?
국립수목원은 일부 전시 시설 및 전문 전시 구역에 대해 입장료가 있으나 숲 경로 일부는 무료로 개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부 요금은 공식 안내 참조)
Q3. 반려동물 동반 가능한가요?
보존 숲 구간 특성상 반려동물 출입이 제한되거나 규제될 수 있으므로, 동반 계획이 있다면 사전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비 오는 날 방문해도 괜찮을까요?
비 오는 날에는 온실, 실내 전시 공간을 중심으로 동선을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숲길은 미끄럽고 습할 수 있습니다.

가을에 갈만한 단풍여행장소(수목원) 알아보기
대구시민의 휴식공간, 대구수목원, 생태숲 체험장으로 떠나는 자연 여행 경상남도수목원, 자연 그대로 간직한 숲의 보물, 국립수목원, 도심 속 숲의 쉼표, 강원특별자치도립화목원, 가을 황금빛 정원, 홍천 은행나무숲 탐방기, 자연의 숨결이 머무는 숲, 미동산수목원등

대구시민의 휴식공간, 대구수목원
대구수목원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화암로 342 (대곡동)에 위치한 도시형 수목원입니다. 한때 생활폐기물 매립지였던 이 땅이 숲과 생명의 공간으로 탈바꿈한 사례로, 많은 시민에게 사랑받는 녹색 쉼터가 되었습니다.

생태숲 체험장으로 떠나는 자연 여행 경상남도수목원
경상남도수목원은 경남 진주시 이반성면 대천리에 위치한 도 내 대표 수목원입니다. 전체 면적 약 102ha 규모로, 온대·난대 지역의 식물 유전자원을 보전·전시하며 “생태숲 체험장” 개념을 중심으로 산림생태 학습과 가족 힐링 공간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도심 속 숲의 쉼표, 강원특별자치도립화목원
강원특별자치도립화목원은 강원도 내 도심 근교에 조성된 산림복합 공간으로, 시민들의 산림 휴양 수요와 자연 학습 수요를 함께 충족하고자 설립된 시설입니다. 화목원이라는 이름은 “꽃과 나무(木 果)”의 합성어로, 나무·꽃·숲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전시 및 휴식 공간을 지향합니다.

가을 황금빛 정원, 홍천 은행나무숲 탐방기
홍천 은행나무숲은 강원도 홍천군 내면 광원리 일대, 약 5m 간격으로 나란히 심은 은행나무 2,000여 그루가 줄지어 늘어선 숲입니다. 이 숲은 원래 한 사람의 정성으로 시작된 공간입니다. 1985년, 만성 소화불량을 앓던 아내의 쾌유를 빌며 은행나무 묘목을 심고 가꿔 온 것이 오늘날의 장관으로 이어졌습니다. 오랜 시간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던 이 숲은, 2010년부터 10월 한 달간만 무료로 개방되며 가을 명소로 자리잡았습니다.

자연의 숨결이 머무는 숲, 미동산수목원
미동산수목원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일대, 해발 약 557.5m 미동산 자락에 조성된 공립 수목원입니다. 이 숲은 조성 면적 약 250ha 규모이며, 식물유전자원 1,593종, 31만 본 이상의 식물을 보존·전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숲·식물 중심의 전시정원과 산림문화교육시설을 갖춘 복합형 숲 문화 공간입니다.

호수와 숲이 만나는 풍경, 대아수목원의 자연 여정
대아수목원은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에 위치하며, 대아저수지(대아호)를 배경으로 숲과 물이 조화를 이루는 자연형 수목원입니다. 전북 산림환경연구원 소속 수목원으로, 숲 생태 보전·교육·문화 기능을 함께 지향하는 공간입니다.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 수목원은 열대식물원, 산림문화전시관, 산림생태체험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난대수목원, 완도수목원 탐방기
완도수목원은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일대에 조성된 공립 수목원으로, 국내에서 ‘유일한 난대수목원’이라는 위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난대림이란 열대와 온대의 중간 기후 조건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림을 일컫는데, 완도수목원은 바닷가의 온화한 기후 조건과 풍부한 습도를 바탕으로 여러 난대성 수종이 자연 자생하는 숲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제주 도심 속 숲의 안식처, 한라수목원
한라수목원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광이오름과 남조봉 기슭 부근에 위치한 공립 수목원입니다. 1993년 12월 개원되어, 제주 자생 식물 및 아열대 식물 전시와 보전, 시민 휴식 공간으로서 역할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계절마다 다른 옷을 갈아입는 숲, 강릉 솔향수목원
강원 강릉에 자리한 솔향수목원은 이름 그대로 ‘솔(소나무)의 향’을 콘셉트로 한 수목원입니다. 동해 바다와 가까운 지리적 특성 덕분에 사계절 바람결이 다르고, 그 바람을 따라 숲의 색·소리·향이 섬세하게 달라집니다. 산책로와 테마정원, 초화정원과 습지, 잔디광장·전망 데크 등이 이어져 있어 걷기·휴식·학습·촬영이 모두 만족스러운 공간이에요.